[KBO] 확대된 스트라이크존, KBO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Minding's Baseball/야구칼럼
필자는 매주 토요일, 취미 활동으로 사회인 야구를 즐기고 있다. 2022년 사회인 리그 개막경기 첫 타석. 상대 투수가 힘껏 공을 던진다. 어깨 라인 살짝 위로 지나간 공. 평소에 선구안에 자신이 있던 나는 이 공을 볼이라고 확신했지만, "스트~라잌!" 아니, 이게 무슨 일인가. 체감 상으로는 머리 높이 정도로 온 공 같은데... (사회인 야구는 투구의 낙폭이 크기 때문에 더 그렇다.) 당황한 필자는 결국 비슷한 높은 공이라면 휘두를 수밖에 없었다. 운 좋게도 안타를 쳐낼 수는 있었지만, 갑작스럽게 넓어진 스트라이크존에 심판님께 존이 넓어진 이유를 물어보았다. "프로야구 존이 넓어졌잖아요. 저희도 거기에 맞게 넓힐 수밖에 없어요." 사회인 야구 리그 규정 또한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BSA)의 규정에 근거..
[KBO] 투수 규정이닝을 낮춰야 할까?
·
Minding's Baseball/야구칼럼
최근 야구게임 회사에서 면접을 보았는데, 이 질문이 유독 기억에 남았다. "규정이닝을 채우는 투수들이 적어지고 있는데, 규정이닝 기준을 낮춰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한 경기에서 최대한 긴 이닝을 소화해내는 것이 선발투수의 덕목 중 하나라고 생각해왔던 나였기에, 규정이닝은 선발투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절대적인 항목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규정이닝 기준에 부합하는 투수들이 적어지면서 그에 대한 논의가 있다는 정도만 들어보고 이에 대해 자세히 생각은 해본적 없던 나였기에, '굳이 줄일 필요는 없다.' 정도의 답변밖에 하지 못했다. 집으로 돌아와 규정이닝에 대해 검색을 해보니, 세이버매트리션 중 한 분인 썩빡꾸님이 쓰신 글이 눈에 띄었다. MLB의 데이터를 통해 규정이닝을 충족하는 투수들이 줄고 있다는 ..